하루일문

Chapter 18. 카카오 기획자가 말하는 고객중심 플랫폼기획 본문

pm/TIL

Chapter 18. 카카오 기획자가 말하는 고객중심 플랫폼기획

support_u 2023. 10. 28. 18:16

성장의 선순환 구조 :
트레픽 확보 → 셀러 확보 → 선택지가 다양해짐 → 사용성 증가
규모의 경제 → 적은 가격 → 사용성 증가

🔷 플렛폼 비즈니스

생태계를 구축하고 수요자와 공급자 간의 거래를 촉진하여 특정 가치를 포착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비즈니스 모델.

공급자 수요자 또 이외의 이해관계자들 중 하나에 편중된 플랫폼을 설계하는 것을 경계해야 함.

 

1️⃣ 비즈니스 모델

🔷 거래 플랫폼

  • 공급자와 수요자를 연결하는 버티컬 플랫폼
  • 공급자와 수요자와 둘다 거래
  • 거래당 수수료 모델
  • 쉽게 거래자를 찾을 수 있지만, 플랫폼 자체 정책을 정해야 함.
  • 플랫폼 사업자는 재고를 소유하는 않아 유지비가 거의 없음.
  • 공급자에게 부가 비용을 거의 없음. 
    • 있다면 독보적인 위치가 있어야함.
    • lock-in 효과필요 (공급자와 수요자가 앱에 종속 → 은행같은 역할)

 

🔷 싱글 플랫폼

  • 수요자에게 SDK, API를 제공
  • 대부분 기업과 거리
  • 주로 기술 기반의 플랫폼 기업
  • BM : 사용료를 받는 방식, 기능별 사용료 , 월별 사용료

 

🔷 멀티플랫폼

  • 공급자 수요자가 하나로 나눠지지 않고 사용자 공급하고 수요하는 플랫폼
  • 가장 확장된 형태의 플랫폼
  • 두개 이상의 서로 다른 유형의 재휴 고객간 직접적인 상호작용이 가능
  • BM : 광고 비용, 거래당 수수료, 플랫폼 사용료.
  • 프리모델로 트래픽으로 공급자를 모아 컨텐츠를 제공하여 각자 니즈에 맞게 확장.
  • 네이버, 구글, 카카오

🔸 예시

페이스북

파랑 - 페이스북, 분홍 - 광고주, 초록 - 사용자

  • 무료 서비스로 트래픽을 늘리고 공급자를 확보하고 광고를 함.
  • AD - 광고주들이 사용하는 플랫폼.
  • 커머스 - 페이스북 메신저, 인스타그램을 통한 상거래과 그의 CRM(고객관리 툴) 제공.
  • 사용자 = 사용자 데이터 외 정보를 대가로 무료로 이용 가능
  • 비즈니스 사용자 = 트래픽을 제공받고 비즈니스로 이용함으로써 솔루션 사용료
  • AD = 사용자 데이터를 받아 사용자에게 최적화 된 광고를 제공, 비즈니스 사용자는 광고 비용을 내고 광고와 그에따른 성과 대시보드를 제공 받음.
  • 커머스 = 안에서 가게를 만들고 구매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.

 


2️⃣ 사용자와 파트너 중심의 플랫폼 기획

  • 사용자와 파트너 경험을 균형있게 집중.

🔷 광고의 형태

  • Display AD : 이미지 형태의 광고, 직접적이고 효과적이지만, 사용자 피로도가 높음.
  • Search AD : 검색 키워드의 브랜드를 상단에 노출. 니즈가 없다면 광고가 쉽지 않지만, 사용자 피로도가 낮음.
  • Conversation AD : 채팅으로 광고를 제공. 직접적으로 광고를 줄 수 있지만 사용자 피로고가 높음.

🔷 광고 퍼포먼스 마켓팅

🔸 광고지면이 만악의 근원일까?

❓ 과연 관고 지면 축소가 사용자 피로도가 감소할까?

→ 광고 지면 축소로 인한 광고 수입 감소로 서비스의 퀄리티가 낮아져서 사용자 피로도가 증가하여 이탈할 수 있음.

즉, 사용자에게 필요한 광고를 제공하는 추천기능이 있다면 광고와 사용자 피로도의 적정선을 찾을 수 있음.

 

🔸 퍼포먼스 마켓팅

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디지털 영역에서 소비자의 행동을 트래킹하고, 맞춤 타겟팅 광고를 운영하는 마켓팅.

광고효과가 증가하여 파트너의 증가로 이어갈것 임.

오늘의 특가..

 

🔸 타겟팅 광고

올바른 대상에게 올바른 방법을 통해 올바른 시간에 올바른 컨텐츠를 발성하는 광고 방식.

캠패인 집행 초기에 타겟 사용자층이 명확히 특정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음.

규모가 작고 집행기간이 짧은 경우 a/b 테스르의 활용이 효과적이나, 리소스가 높음.

인포그래픽 데이터 : 사용자 개인데이터를 중심으로 확보한 추정데이터.

리타겟팅 데이터 : 각 사용자의 서비스 활용 내역을 기반으로 타겟팅하는 기법.